728x90 반응형 💛03_Server & OS22 #Linux #명령어 #자주사용명령어요약 🧨 자주 사용 명령어 요약 1. ls - 해당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파일목록을 표시 2. ll - ls 명령어에 -l 옵션(-l 옵션은 long 옵션으로 상세히 출력) 3. cd - 디렉터리 이동 cd / - 최상위 경로로 이동 cd /home/test 해당 경로로 이동 ( 최상위 경로에서는 home/test 이렇게 명시해도 이동이 되지만 하위에서는 /home/test 이렇게 하면 경로를 못찾음 ) 4. touch - 0바이트 파일 생성, 파일의 날짜와 시간을 수정 5. mkdir - 디렉터리 생성 testfolder 디렉토리 생성 ex) mkdir testfolder /home/user/위치에 testfolder 디렉토리 생성 ex) mkdir /home/user/testfolder testfolder,.. 💛03_Server & OS/03_Linux 2023. 9. 25. #vi #vim #nano #LINUX #에디터 #에디터별 📚vi 에디터 🧨 Visual Editor의 줄임말로 vi 텍스트 에디터 라고 한다. 🧨h, j, k, l : 좌,하,상,우 커서이동 i : 현재 커서 위치에 Insert 하기 I : 현재 줄 맨앞에 Insert 하기 a : 현재 커서 다음칸에 Insert 하기 A : 현재 줄 맨뒤에 Insert 하기 O : 윗줄에 Insert 하기 o : 아랫줄에 Insert 하기 w : 단어 첫글자로 이동하기 W : 화이트스페이스 단위로 다음 글자로 이동하기 b : 백워드 방향으로 단어의 첫글자로 이동하기 B- 백워드 방향으로 화이트스페이스 단위로 다음 글자로 이동하기 e : 단어의 마지막 글자로 이동하기 ge : 백워드 방향으로 단어의 마지막 글자로 이동하기 gg : 문서 맨 앞으로 이동 G : 문서 맨끝으로 이동.. 💛03_Server & OS/03_Linux 2023. 9. 11. #curl 1. curl ( 명령어 : crul [도메인] ) 대부분의 서버는 telnet을 설치해두지만 보안이슈로 인해 최소설치를 하였을때는 telnet명령어 사용이 불가한 경우가 있다. 이럴땐 최소 설치가 되는 curl 명령어를 사용하여 서버 체크를 진행 하면 된다. ⭐ 정상적으로 80포트가 오픈되어있다면 아래와 같이 표현 Connected 형식으로 출력 ( 해당 포트로 접근 가능 ) ⭐ 특정 PORT3306 시도시 막혀 있다면 Timed out 메시지 출력 ( 해당 포트로 접근 불가 ) 2. curl 옵션 - 요청 데이터 관련 -X, —request HTTP 메서드를 설정할 수 있다. -X GET 일반적으로는 옵션에 맞는 메서드가 적용돼 요청한다. -H —header 헤더를 보낸다. -H “Accept: te.. 💛03_Server & OS/03_Linux 2023. 6. 8. #rc.local #.bash_profile #Linux #설정파일 #서버실행시실행파일 오늘은 linux가 사용하고 있는 환경설정 파일 및 lnux 재기동 시에 사용하는 rc.local 파일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1. rc.local 부팅 시 자동 실행 병령어로 스크립트를 수행하는 동작을 하며 매번 Linux 부팅시 마다 자동으로 실행 되기를 원하는 명렁어나 작업 스크립트를 입력하여 호출하도록 구성할수 있다. 🧨우분투 user$ sudo vi /etc/rc.local #!/bin/bash touch /tmp/test 🍭권한 부여 : user$ sudo chmod 755 /etc/rc.local 🧨페도라 user$ sudo vi /etc/rc.d/rc.local #!/bin/bash touch /tmp/test user$ sudo ln -s /etc/rc.d/rc.local /etc/r.. 💛03_Server & OS/03_Linux 2023. 5. 22. #ps #-ef #| #grep #리눅스명령어 #kill명령어 #옵션 통상적으로 리눅스에서 어떠한 프로세스가 돌고 있는지 알수 있는 방법으로는 ps -ef | grep (찾고자 하는 내역) 이렇게 명령어를 호출한다. 오늘은 ps 명령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s -ef | grep (찾고자 하는 프로세스 명칭) 🧨ps( Process Status )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목록을 출력 하는 명령어 ps 명령어 옵션 1. -e :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한다. 2. -f 풀 포맷으로 보여준다. (UID, PID등) grep 옵션 1. -i : 대소문자 구분하지 않고 검색진행 2. -n : 줄 번호 출력 3. -x : 패턴과 단어 전차게 일치하는 라인을 출력함 🧨통상 리눅스 명령어중에 | (파이프라인)을 많이 봐왔지만 왜 사용하는지는 이번 포스팅을 하면서 알게 되었다.. 💛03_Server & OS/03_Linux 2023. 5. 22. #Tomcat #server.xml #autoDeploy #reloadable #Jenkins배포오류 #tomcat설정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Jenkins를 통해 배포를 하던 도중 에러가 발생했다. 로그를 보면 서버가 시작되면서 발생하는 에러라는 내용이였다. 알고 보니 tomcat 설정에서 autoDeploy설정이 true로 되어있었고 jenkins에서도 server재기동 로직이 충돌하면서 발생한 내용이였다. 그래서 autoDeply와 reloadable설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알아보기 전에 tomcat에 server.xml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고 가자. 🧨server.xml $CATALINA_HOME/conf/server.xml은 Tomcat의 메인 설정 파일로 Tomcat 기동시에 참조 된다. $CATALINA_HOME/conf/ 디렉토리에는 디폴트 server.xml 이외에 최소한의 설정만으로 구성된 .. 💛03_Server & OS/02_Apache Tomcat 2023. 4. 11. #Linux #Window #NSLOOKUP #Ping #Telnet #nc(NetCat) #curl #원격 서버 상태 체트하기 🍭원격 서버 상태 체트하기 🎈원격 서버가 살아있는지 확인을 하기위해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명령어가 보안적인 문제로 막혀있을 때가 많이 있기에 여러가지 명령어를 알아두는 것이 좋다. 1. Ping ( 명령어 : ping [도메인] ) 🧨 ping설치 경로 : C:\Windows\System32\PING.EXE 🧨 서버 살아있는지 점검시에 사용함 🧨 해당 컴퓨터에 일정 패킷을 보내 수신하여 동작여부 및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 🧨 윈도우 ping은 기본적으로 4회만 시도한다. 🧨 무한히 반복하고 싶다면 -t 옵션을 붙이면 된다. 단 이때는 중단하려면 Ctrl+C를 눌러야 한다. 🧨 인터넷 웹사이트는 ping 응답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 🎈 명령어 🧨 ping [IP 또는 도메인] : 해당명령어로 호출시 기.. 💛03_Server & OS 2022. 12. 14. #NTP #Network #Time #Protocol #NTP서버 #시간동기화서버 🧨NTP서버란? Network Time Protocol의 약자로서 네트워크로 구성된 환경에서 운영되는 시스템들간 시간동기화를 위한 규약으로 NTP서버를 통해서 통신하고 있는 모든 서버의 시간을 동기화 하기 위함에 있다. 서버라기 보다는 시각 동기화장지라고도 한다. 💛03_Server & OS 2022. 12. 12. 😜아파치 톰켓에 대한 파일별 정리내역 🧨catalina.policy -> 보안정책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는 파일이며 JVM에 의해서 웹 어플리케이션에 강제적으로 보안 정책을 권한을 설정한다고 한다. 🧨 catalina.properties -> 서버를 시작할때 검색하는 서버라고 하는 이유 찾기 -> 공유로더 -> jar등의 공유 정보 포함 🧨 context.xml -> 세션 및 쿠키 저장경로지정을 설정하는 파일 🧨 server.xml -> 톰켓의 service, connector(포트포함), host정보등을 설정 🧨 tomcat-users.xml -> 사용자 권한 및 인증정보 저장 -> 톰켓 관리자를 사용할때 활용된다고 하는데 이유 찾기 -> 기본적으로 주석처리 진행 (해제 및 설정을 해야 관리자 실행 가능) -> 추후 작업해보기 🧨 web.x.. 💛03_Server & OS 2022. 12. 12. 아파치 톰켓에 대한 파일별 정리내역 아파치 톰켓에 대한 파일별 정리내역 1. catalina.policy -> 보안정책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는 파일이며 JVM에 의해서 웹 어플리케이션에 강제적으로 보안 정책을 권한을 설정한다고 한다. 2. catalina.properties -> 서버를 시작할때 검색하는 서버라고 하는 이유 찾기 -> 공유로더 -> jar등의 공유 정보 포함 3. context.xml -> 세션 및 쿠키 저장경로지정을 설정하는 파일 4. server.xml -> 톰켓의 service, connector(포트포함), host정보등을 설정 5. tomcat-users.xml -> 사용자 권한 및 인증정보 저장 -> 톰켓 관리자를 사용할때 활용된다고 하는데 이유 찾기 -> 기본적으로 주석처리 진행 (해제 및 설정을 해야 관리자 .. 💛03_Server & OS 2022. 4. 29.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