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_Server & OS

#Linux #Window #NSLOOKUP #Ping #Telnet #nc(NetCat) #curl #원격 서버 상태 체트하기

roomname-dev 2022. 12. 14.
728x90
반응형

🍭원격 서버 상태 체트하기 

🎈원격 서버가 살아있는지 확인을 하기위해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명령어가 보안적인 문제로 막혀있을 때가 많이 있기에 여러가지 명령어를 알아두는 것이 좋다. 

 


1. Ping ( 명령어 : ping [도메인] )

🧨 ping설치 경로 : C:\Windows\System32\PING.EXE
🧨 서버 살아있는지 점검시에 사용함
🧨 해당 컴퓨터에 일정 패킷을 보내 수신하여 동작여부 및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
🧨 윈도우 ping은 기본적으로 4회만 시도한다.
🧨 무한히 반복하고 싶다면 -t 옵션을 붙이면 된다.
   단 이때는 중단하려면 Ctrl+C를 눌러야 한다.
🧨 인터넷 웹사이트는 ping 응답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
🎈 명령어 
🧨 ping [IP 또는 도메인]       : 해당명령어로 호출시 기본 4회 실행 
🧨 ping [IP 또는 도메인] -t    : -t를 통해 반복적 수행 가능
🧨 ping [IP 또는 도메인] -n 7  : 횟수를 지정하여 수행 가능
🧨 ping [IP 또는 도메인] -l 64 : 패킷의 크기를 64바이트로 지정하여 수행 가능
🧨 ping -help                : Ping명령어 옵션정보를 볼수 있다. 

⭐ping 명령어 호출 내역 ( 64바이트로 6회를 실행 ) 


2. Telnet ( 명령어 : telnet [도메인] [포트] )

🧨 원격지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 인터넷이나 로컬 영역 네트워크 연결에 쓰이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 기본 포트는 23
🧨 보안 통신이 되는 SSH로 대체되어 현재는 잘 사용하지 않음
🧨 telnet 클라이언트만 포트 점검용으로 사용함
🧨 기본 명령어 : telnet [IP] [PORT]  
🎈 Window telnet 명령어 활성화 
🧨 제어판 -> 프로그램 및 기능/프로그램 추가제거 
    -> Windows 기능켜기/끄기 -> 텔넷클라이언트 설치 
🧨 Window기준 위 설치과정을 진행 해야 정상적으로 telnet 명령어 사용가능

⭐ 80port 오픈이 되어있는지 telnet 명령어로 호출 

⭐ 80port가 정상적으로 오픈되어있을때 아래와같이 빈내용으로 변경됨

⭐ 3306과 같은 특정 포트로 호출시 연결 대상 도메인... 이런식으로 접근 불가 


3. nc(NetCat, 넷캣) ( 명령어 : nc [옵션] [목표시스템] [원격지 포트] ) 

서버 쪽 포트가 열렸는지 확인하는 방법 

NC는 윈도우에서 기본 제공이 아님으로 https://eternallybored.org/misc/netcat/ 해당URL에서 다운로드가 필요 


4. curl ( 명령어 : crul [도메인]  )

대부분의 서버는 telnet을 설치해두지만 보안이슈로 인해 최소설치를 하였을때는 telnet명령어 사용이 불가한 경우가 있다. 이럴땐 최소 설치가 되는 curl 명령어를 사용하여 서버 체크를 진행 하면 된다. 

⭐ 정상적으로 80포트가 오픈되어있다면 아래와 같이 표현 Connected 형식으로 출력 ( 해당 포트로 접근 가능 ) 

⭐ 특정 PORT3306 시도시 막혀 있다면 Timed out 메시지 출력 ( 해당 포트로 접근 불가 ) 


5. nslookup ( 명령어 : nslookup [도메인] )

⭐Name server 관련 조회 명령어 이다. 서버의 네트워크가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 가능하다. 

DNS서버에 직접 DNS쿼리를 요청하여 정보를 확인할수 있다.

 

현재 해당 도메인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알수 있다. 

주소, 아이피 정보, aliases(별칭)


6. tracert ( 명령어 : tracert [도메인 or IP (목적지 주소)] )

⭐윈도우에서 라우팅되는 경로를 추적할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경로를 수집하는

윈도우 명령어이다.

⭐한마디로 tracert 이후 지정한 호스트에 도달할 때까지 통과하는 경로의 정보, 지연시간등을 추적하는 툴이라고

할수 있다.

호스트(Host)란?
영어사전에서 확인해보면 host는 주인, 주최국, 진행자라는 뜻을 갖음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들을 호스트(host)라고함
즉 HOST는 IP를 가지고 있고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 및 시스템이라 할수 있다.

⭐ tracert 도메인 or IP (목적지 주소)

목적지 주소까지 거친갯수 / RTT(Round Trip Time : 도착지에  걸린 시간 / 도착한 호스트 이름 &  ip주소 
* 각 도착한 아이피는 https://후이즈검색.한국/main.do 에서 검색할수 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