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99_기타/03_웹 지식13 #http #상태코드표 #100~500 #요약정리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 서버와 웹 클라이언트 간 데이터 통신방식으로 TCP/IP프로토콜 위에 동작합니다. 웹브라우저에 도메인 주소 (https://www.google.com) 를 입력하면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HTTP 연결을 통해 HTTP 요청 메시지가 요청, 응답을 진행 하게 됩니다. 이런 수많은 통신을 진행 하면서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데 이때 통신에 대한 상태 코드를 통해 해당 통신이 어떤 상태인지 확인 할수 있습니다. 1xx, 2xx.. 와 같이 첫번째 숫자는 HTTP 응답의 종류를 구분 나머지는 세부 정보를 표기 합니다. 👉1xx:Informational(정보제공)임시 응답으로 현재 까지 클라이언트의 요청은 처리되었으나 .. 💜99_기타/03_웹 지식 2024. 12. 4. #AWS #AmazonWebServices #클라우드서비스 #AWS개념정리 AWS를 빼고 웹개발을 말할수 없을것입니다. 기존 Promise구조에서 IDC센터에 이어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한 서비스 제공에 대해 발전해나가고 있는 내역에서 aws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고 넘어가겠습니다. 🦖리전(Region)리전은 AWS서비스가 제공되는 지리적 위치를 나타냅니다. 각 리전은 독립적인 데이터 센터를 가지고 있으며 여려개의 '가용영역(AZ)'로 구성됩니다. ex) - us-east-1(미국동부-버지니아북부)- ap-northeast-1(아시아 태평양 - 도쿄) 👉각 리전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데이터 센터를 가지고 있으며 데이터의 지리적 중복성과 가용성 제공👉리전간 데이터 전송은 네트워크 비용이 필요 하며 지연시간 발생할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자신이 데이터를 저장할 .. 💜99_기타/03_웹 지식 2024. 11. 18. #SaaS #클라우드서비스 #소프트웨어서비스 #비즈니스효율성 #협업툴 #구독형서비스 #CRM #원격근무#비용절감 웹개발을 하면 SaaS라는 단어를 알게 된다. Software as a Service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소프트웨어 제공 방식을 뜻합니다.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에 접근하여 사용하는 서비스를 의미하며 전통적인 소프트웨워와 다르게 서버, 하드웨어 별도 설치 없이 웹 브라우저만을 통해 서비스 접속 사용을 하게 됩니다. 1. SaaS의 정의와 개념SaaS는 말 그대로 소프트웨어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모델입니다. 전통적인 방식의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직접 구매하고, 설치하고, 업데이트하며, 유지보수를 해야 했습니다. 반면, SaaS는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업체가 중앙 서버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사용자는 인터넷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SaaS의 구성 요소:.. 💜99_기타/03_웹 지식 2024. 11. 18. #HTTP상태코드 #HTTP에러코드 #404에러 #500에러 #HTTP상태 #웹개발 #API에러 #웹사이트에러 #서버에러 #클라이언트에러 #상태코드 HTTP 응답 상태 코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통신 상태에 대한 내비게이션 같은 역활이라고 생각합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통신 진행시 상태코드를 통해 확인할수있는데 자주 사용되는 코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200 OK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웹페이지가 정상적으로 로드되거나 API 호출이 성공했을 때 보통 반환됩니다.🦖.301 Moved Permanently요청한 리소스가 영구적으로 새로운 위치로 이동되었음을 의미합니다. 클라이언트는 자동으로 새로운 URL로 리디렉션됩니다.🦖.404 Not Found요청한 리소스를 찾을 수 없을 때 발생합니다. 주소가 잘못되었거나 해당 페이지가 삭제된 경우에 자주 발생합니다.🦖.500 Internal Server Error서버에서 예.. 💜99_기타/03_웹 지식 2024. 11. 18. #사이트맵 #sitemap.xml #SEO #SearchEngineOptimization #크롤링 #검색봇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엔진 최적화로서 각 검색엔진이 검색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절차로 각 검색엔진들은 대략적으로 Sitemap.xml을 기준으로 검색 최적화를 진행을 하게 된다. 🦖사이트맵(sitemap.xml)이란? 웹사이트(블로그, 홈페이지 등)의 모든 페이지의 목록을 나열한 파일로 책의 목차와 같습니다. 해당 목록을 통해서 각 검색엔진의 검색 봇들이 해당 페이지를 크롤링을 통해서 정보를 수집해 갑니다. 🦖크롤링이란 크롤링(crawling) 은 웹 페이지를 그대로 가져와서 거기서 데이터를 추출해 내는 행위를 말함 🦖각 검색엔진 검색봇 🤚Google : Googlebot 🤚naver : Yeti 🤚Bing : Bingbot 🦖 사이트맵(sitemap.xml)을 .. 💜99_기타/03_웹 지식 2024. 3. 14. #http #HyperTextTransperProtocol #특징 #Stateless #Stateful #비연결성 #무상태 ⚡Http 개념, 역사, 특징 💯HTTP란? 💠HTTP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는 1989년~1991년 발명 💠HTTP는 월드 와이드 웹(WWW)에 내재된 프로토콜 💠HTTP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수 있는 프로토콜 💯프로토콜(Protocol)이란? 💠프로토콜은 규칙, 약속, 규약이다. 💠컴퓨터 네트워크(관계망)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이런한 규칙을 통해 정보 교환이 가능하다.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보내고 받는 성격에 따라 프로토콜이 만들어졌다. 💠웹문서를 주고 받을때 HTTP를 사용해야하고 파일을 주고 받을때는 FTP, 메일은 SMTP,POP등 전송계층과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된다. 포트번호 프로토콜 포드번호 프.. 💜99_기타/03_웹 지식 2024. 2. 13. #CI #CD #CI/CD #ContinuousIntegration #지속적통합 #ContinuousDelivery #지속적제공 #형성관리 #Jenkins #bitbucket #Github CI/CD(Continuous Integration/Continuous Delivery) 개발을 진행 하다보면 무조건 듣게 될수 밖에 없는 용어중 하나이다. 번역을 하자면 지속적인 통합 그리고 지속적인 제공 이렇게 이야기 할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개발 단계를 자동화하여 효율적은 관리와 배포를 진행 한다는건 정말 중요한 일이 아닐수가 없다. 📚CI(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 통합 어플리케이션의 새로운 코드 변경 사항에 대한 정기적 빌드 및 테스트 내역에 대한 공유 레포지토리에 통합 Git, SVN등 형성관리에 이력을 추가하고 난 후 수많은 commit된 내역에 대한 기능별 빌드/테스트/병합(Merge)에 대한 자동화된 빌드&테스트환경을 구현 한다. CI의 핵심목표로는 버그에 대한 신.. 💜99_기타/03_웹 지식 2023. 10. 30. #User-Agent #Client #Hints #UA프리징 #보안 #크롬 #대안 Navigator 객체에서 제공하는 Useragent함수에는 http헤더에 포함된 User-Agent string에서 브라우저, OS, 사용자의 기기 정보 등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를 얻을수 있음 이를 사용하는 큰 이유는 아래와 같다. 1. 특정 버전의 버그 2. OS의 동작 차이 3. 버전에 따른 동작차이 4. 사용자 에이전트에 따라 보여줄 컨텐츠 조작 통상 이런 다양한 이유로 User-Agent string에 담겨져 있는 정보를 사용하였지만 많은 정보량(entropy-엔트로피)이 담겨 있어 개인정보 침해 문제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Chrome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샌드박스 프로젝트 중 Client Hints를 도입하였다. Client Hint란 클라이언트 및 에이전트의 정보라고 할수 있고 .. 💜99_기타/03_웹 지식 2023. 10. 30. #IDC센터 #On-Premise #클라우드 서버 #IaaS #PaaS #SaaS 웹개발을 하다보면 서버에 대한 이야기를 빼먹을수 없다. 클라우드 서버, IDC센터, On-Premise에 대해 알아볼려고 합니다. 웹서비스를 구성함에 있어 물리적은 장치가 없이는 구성할수 없을겁니다. 📚IDC센터 IDC(Internet Data Center)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로 인터넷환경의 중심인 서버를 한곳에 모아 관리하는 시설을 말한다. 서버 컴퓨터와 네트워크회선을 제공하며 다른말로 서버호텔(Server Hotel)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IDC는 안정적 운용을 위해 정전방지를 위해 자체 전력을 구축해두기도 하고 웹방화벽 서비스 및 모니터링 서비스도 제공하기도 한다. 📚On-Premise On-Premise 구조는 기업의 서버를 클라우드나 IDC구조가 아닌 자체적으로 보유한 전산실 서버에서 직접 .. 💜99_기타/03_웹 지식 2023. 10. 4. #ESB #Enterprise Service Bus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버스(ESB(Enterprise Service Bus))란 이렇게 정의하고 있습니다. 서비스들을 컴포넌트화된 논리적 집합으로 묶는 핵심 미들웨어이며, 비지니스 프로세스 환경에 맞게 설계 및 전개할 수 있는 아키텍처 패턴이다. 💜99_기타/03_웹 지식 2023. 4. 26. #ISMS인증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ISMS-P인 #Personal information &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종합 정보보호 관리체계 #KISA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정보보안인증 ISMS인증이란? 🧨정보보호관리에 대한 표준적 모델 및 기준을 제시하여 기관 및 기업의 정보보호 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을 촉진하고 기업의 정보보호를 위한 일련의 활동 등이 객관적인 인증심사 기준에 적합한 지를 인증기관이 인증하는 제도라고 KISA에서 명시하고 있습니다. 🧨ISMS인증은 법이 정안 일정규모 이상의 기업&기관에 대한 보안요건 충족에 대한 심사 제도라고 이야기 할수 있습니다. ISMS :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일련의 조치와 활동이 인증기준에 적합함을 인터넷진흥원 또는 인증기관이 증명하는 제도 🧨정보서비스의 운영 및 보호에 필요한 조직, 물리적 위치, 정보자산 🧨개인정보 처리를 위한 수집, 보유, 이용, 제공, 파기에 관여하는 개인정보처리 시스.. 💜99_기타/03_웹 지식 2023. 4. 25. #SaaS(Software as a Service)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CSAP(Cloud Security Assurance Program) #클라우드보안인증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란? SaaS(Software as a Service)는 클라우드 기반의 소프트웨어 제공 모델로, 클라우드 제공업체가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 및 유지 관리하고, 자동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제공하고, 인터넷을 통해 Pay-as-you-Go 방식으로 고객에게 소프트웨어를 제공합니다. 퍼블릭 클라우드 제공업체는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보안을 포함한 모든 하드웨어 및 전통적인 소프트웨어를 관리합니다. 따라서 SaaS 고객은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온프레미스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를 유지 관리할 때보다 더 빠르게 비즈니스 솔루션을 배포, 확장 및 업그레이드할 수 있으며, 총 소유 비용을 훨씬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습니다. 2000년대 초에 개발된 1.. 💜99_기타/03_웹 지식 2023. 4. 3.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