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명령어3 #PC #Ram슬롯 확인 #명령어 #CMD #PowerShell PC에서 마더보드의 램을 확인할 경우가 있다. 여러가지 방법론에 대해서 확인해보겠습니다. 🦖 윈도우 작업관리자 👉 Ctrl + Shift + Esc 키를 입력하여 작업관리자 실행 👉 성능 탭의 메모리 선택 👉 우측 하단에 사용된 슬롯을 확인 🦖 CMD👉 wmic memphysical get MaxCapacity, MemoryDevices(총 Ram 슬롯 수를 확인 )👉 wmic memorychip get banklabel, capacity(현재 사용 중인 슬롯의 수) 🦖파워쉘👉 Get-WmiObject -Class "Win32_PhysicalMemoryArray" ( 총 램슬롯의 수 )👉 ((Get-WmiObject -Class "Win32_PhysicalMemoryArray").. 💜99_기타/02_Window ETC 2024. 10. 24. #Linux #사용자 #비밀번호변경 #passwd #DBSAFER #명령어 프로젝트를 하다 어플리케이션을 올리는 계정에 대한 비밀번호 변경이 되었다는 내용을 전달받았다. 금융권 프로젝트를 진행 하다보면 보안 이슈로 인해서 DBSAFER를 통해 접근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DBSAFER를 통해 로그인 해야 ssh과 putty를 접속이 가능하다. 하지만 어플리케이션을 올리는 계정의 비밀번호가 변경 되면 접근이 불가 하다. 이럴때는 DBSAFER를 통해 접근을 하는 부분이라서 DBSAFER를 로그아웃을 하고 재 로그인하면 권한이 부여 되어 사용이 가능하다. DBSAFER란 솔루션을 처음 사용하다보니 몰랐던 부분이다. 일전에 포스팅했던 DBEAVER등 DB관리도구툴을 사용해서 timeout이 발생하는 내용과 동일하다. (아래포스팅 참고) https://roomname-dev.tistor.. 💛03_Server & OS/03_Linux 2023. 11. 10. #Linux #명령어 #자주사용명령어요약 🧨 자주 사용 명령어 요약 1. ls - 해당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파일목록을 표시 2. ll - ls 명령어에 -l 옵션(-l 옵션은 long 옵션으로 상세히 출력) 3. cd - 디렉터리 이동 cd / - 최상위 경로로 이동 cd /home/test 해당 경로로 이동 ( 최상위 경로에서는 home/test 이렇게 명시해도 이동이 되지만 하위에서는 /home/test 이렇게 하면 경로를 못찾음 ) 4. touch - 0바이트 파일 생성, 파일의 날짜와 시간을 수정 5. mkdir - 디렉터리 생성 testfolder 디렉토리 생성 ex) mkdir testfolder /home/user/위치에 testfolder 디렉토리 생성 ex) mkdir /home/user/testfolder testfolder,.. 💛03_Server & OS/03_Linux 2023. 9. 25.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