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Linux는 웹개발자에게 둘도 없는 친구가 되어야 한다. GUI환경에 흠뻑 빠져있는 나를 반성해야한다.
CUI(Character User Interface) or CLI(Command-Line Interface)라고 불리는 내역으로 그래픽 환경이 아닌 명령어를 통한 UserInterface입니다.
이렇듯 C# .net프레임 워크로 개발을 할때는 WindowServer를 설치해서 테스트도 하고 배포도 했어기에 GUI환경안에서 CUI보다 더 편리하게 개발을 했던것 같다.
그러나 JAVA로 구성된 서버는 통상 Linux기반으로 설치를 해서 사용한다. ( IIS에 Apache Tomcat을 설치해서 어플리케이션을 띄우고 IIS와 Apache Tomcat을 모두 사용한적이 있다. 이때 IIS에서 port에 대한 바인딩을 모두 처리 했었다.)
그렇기에 자주 사용하는 Linux명령어를 모아보았습니다.
📚 IP확인 ( hostname -I(대문자 i) )
📚 IP 정보, 서브넷 마스크, 브로드캐스트 등의 정보 (ip addr show)
📚사용자 비밀번호 변경하기 (passwd)
⭐ 비밀번호 변경시 발생사항
1. 암호변경을 위해 조금더 기다려주십시오. passwd:인증 토근 수정 오류
-> 해당 계정의 패스워크 수정불가 부여로 인해 수정불가
-> 계정정책을 확인하여 최소일자를 변경하던지 root게정으로 변경을 처리 하던지 하는 방법이 있다.
📚계정에 대한 최소일자 변경 (chage -m [Days] [사용자 계정])
-m : 패스워드 변경 최소 일자
-M : 패스워드 변경 최대 일자
📚Root 권한으로 계정변경( passwd [계정명] )
📚계정에 대한 PW정책 확인 ( chage -l [계정명] )
📚계정목록 출력 ( cat /etc/passwd )
📚계정 존재여부 ( cat /etc/passwd | grep [계정] )
📚계정 생성( useradd [계정명] / useradd [계정명] -u [사용자아이디])
📚Linux OS 커널 정보확인 ( uname -r / 간소화, uname -a 상세 )
📚Linux OS버전확인( cat /proc/version )
📚Group 목록확인( cat /etc/group )
📚Group 추가( groupadd [추가그룹] )
📚Group 사용자 추가( usermode -a -G [그룹명] [사용자명] )
📚Group 안 사용자 확인( groups [계정명] ) ( groups - 본인 group 확인 )
📚Group 삭제 ( groupdel [계정명] )
📚 User 계정 삭제 (userdel -r [계정명]) (userdel [계정명] - 계정만 삭제하고 폴더는존재)
⭐ 참고
- cat 명령어 : concatenate(연결하다)의 동의어인 catenate에서 유래
- cat명령어는 1. 파일의 출력 / 2.파일 합치기가 있다.
- cat [filename]을 진행 하면 파일에 있는 내용을 실행하는 구조이며
- cat -n filenmae, filename1 을 진행하면 2개의 파일을 출력할수 있다.
Ref. https://bono915.tistory.com/entry/Linux-%EB%A6%AC%EB%88%85%EC%8A%A4-IP-%ED%99%95%EC%9D%B8-%EB%B0%A9%EB%B2%95
Ref. https://developjuns.tistory.com/22
728x90
반응형
'💛03_Server & OS > 03_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encoding #vi #파일인코딩확인 (0) | 2024.05.30 |
---|---|
#Linux #Logrotate #로그 #로그비대화 #로그로테이션 (0) | 2024.02.01 |
#Linux #사용자 #비밀번호변경 #passwd #DBSAFER #명령어 (0) | 2023.11.10 |
#Linux #명령어 #자주사용명령어요약 (0) | 2023.09.25 |
#vi #vim #nano #LINUX #에디터 #에디터별 (0) | 2023.09.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