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DI ( Dependency Injection ) 의존성 관계 주입에는 크게 2가지로 나뉠수 있습니다.
1. 필드중입방식(Field Injection)
필드에서 바로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통한 의존성을 주입하는 방식
장점 : 사용법이 간단함
단점 : 주입된 객체를 lmmutable 한 상태(불변)를 만들 수 없음
2. 수정자 주입방식(Setter Injection)
필드에서 바로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통해 의존성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사용법이 매우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주입된 객체를 Immutable 한 상태(불변)를 만들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하며,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통해 주입하는 방식, 즉 생성자를 통해서도, setter 주입을 통해서도 주입받는 방식이 아닌데, 그렇기 때문에 Spring이 아니면 해당 필드에 Injection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즉, Spring DI 컨테이너 밖에서 작동할 수 없는 코드가 됩니다.
728x90
반응형
'❤️01_Java > 01_Spring &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IOException #현재 연결은 사용자의 호스트 시스템의 소프트웨어의 의해 중단되었습니다 (0) | 2024.02.14 |
---|---|
#Spring #DB설정 #application.yml #jdbc-url (0) | 2023.06.08 |
#Maven(메이븐) #pom.xml #scope #설정 (0) | 2023.05.31 |
[SpringBoot] 문제해결: template might not exist or might not be accessible by any of the configured Template Resolvers (0) | 2023.03.15 |
Spring SP EL 태그 (0) | 2022.05.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