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git --version
-> git 버전을 확인 ( * 맥은 git이 기본 설치가 되어있다.) - git config --global user.name "깃허브 계정 ID"
git config --global user.email "깃허브 계정 이메일주소"
-> git Repository와 내 로컬 피씨와 연동을 하기 위해서 계정정보를 세팅한다. - git remote add origin [내 저장소 링크]
-> git과 내 저장소의 링크진행
- 로컬에서 루비를 통한 서버 실행
- ruby cmd창에서 해당 디렉터리로 이동 후 jekyll serve 명령어 실행
- http://localhost:4000/ 4000port로 로컬로 해당 블로그 운영 가능
git config -global name 등 설정
git config -list
아래처럼 git 저장소 설정을 하기 위해서
- 로컬 PC 내 컴퓨터에 저장할 폴더 생성
-> D:\99_GIT_BLOG - git clone git 저장소 명령어
git clone
https://github.com/mrbang-00/mrbang-00.github.io.git
이렇게 명령어를 진행하면 내 로컬 PC에 github 내역과 연결이 된상태
- git status
이 명령어를 통해서 상태를 확인 - git add * - 이렇게 하면 전체 파일
git add 파일명 - 이렇게 하면 특정파일 - git commit -m "커밋 내용"
git commit -m "blog skin update" - git push
-> commit한 내용을 내 git hub에 업로드 진행 - git 전체 삭제
-> git rm ---cached
-> 이쪽이 파일명이고 *로 하면 모두 삭제 처리 진행 ( 로컬 )
-> 삭제 후 커밋 진행 시 깃도 삭제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