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_기타/99_IT꿀팁

#turnkey #턴키 #IT #계약방식

roomname-dev 2024. 3. 15.
728x90
반응형

턴키(영어: turnkey) 또는 턴키 방식, 일괄 도입 방식은 제품을 구매자가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생산자가 인도하는 방식이다. 디자인-빌드(Design-Build)라고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보통 설계와 시공을 함께 발주하는 설계·시공 일괄입찰의 뜻으로 쓰인다.

 

통상적으로 IT에서도 솔류션 형태로 파는 것을 턴키 방식으로 계약을 한다. 한마디로 제품을 한번에 파는 내역이다. 

A라는 솔루션에 '가'기능 '나'기능 '다'기능에 대한 내역을 추가 하여 통으로 결제를 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될것이다. 

 

가, 나, 다 기능에 대해서는 각 솔류션이 무엇이 들어가고 하는것은 고객사에게는 중요하지 않다. 통으로 구입을 하였기 때문에 가이드 라인에 맞는 방식으로 구축을 해주면 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총 사업비가 1억이라고 가정할때 대략적으로 서버 3000만원, 솔류션비용 3000만원, 구축 4000만원 이렇게 구성하여 계약을 제안한다. 이정도 금액이 발생하니 이금액으로 계약을 요구한다. 

 

그러면 이에 서버3000만원을 1000만원에 계약을 해서 납품을 한다면 차액인 2000만원에 대해서는 순 이익이 될수 있다. 

 

하지만 턴키방식에서는 장단점이 뚜렷하다.

 

장점은 위에 말한것처럼 총금액에서 서버, 솔류션등 금액을 SAVE한만큼 순이익이 된다. 

하지만 납품 일자가 미뤄지거나 구축 인원이 증가하여 비용이 증가한다면 추가 투입인력 및 추가 구입에 대한 비용이 손해로 전환된다. 

 

이처럼 턴키 방식으 소프트웨어 계약은 전략적으로 잘 사용하면 좋을것 같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