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LTS vs Current를 많이 접하게 됩니다. Node.js 다운로드 페이지에서도 이미지와 같이 표기하고 있습니다. 무슨 차이가 있길래 해당버전을 나눠서 배포하는지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LTS(LongTermSupport - 오랜 시간 지원)
말그대로 장기간 지원을 받을수 있는 버전입니다. Node.js기준으로는 LTS로 배포가 되면 해당 버전이 배포되고 나서 약 30개월동안 해당버전의 버그 패치 지원을 한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안정성이 보장이되기에 보편화된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LTS버전을 사용해야 안정성을 높일수 있습니다.
🦖Current (현재 지원)
새로 개발된 기능에 초점을 맞춘 버전으로 새롭게 추가된 기능을 사용하는 베타 서비스형식의 버전입니다. 해당버전을 통해 사용자 피드백을 받아 안정성이 인정되면 해당버전을 LTS버전으로 전환하여 배포를 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LTS버전에 비해 버그가 많아 안정성이 부족하여 보편화된 서비스에서는 지양하는것이 좋습니다.
728x90
반응형
'🩵06_Computer Engineering > 01_Software Enginee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일러 플레이트 코드 #Boilerplate code #코드스플릿팅 #Code-Splitting (0) | 2024.03.04 |
---|---|
#마일스톤 #Milestone #이정표 #표지석 (0) | 2024.03.04 |
#ComputerEngineering #컴퓨터공학 #SoftwareEngineering #소프트웨어공학 #브룩스법칙 #M/M #맨먼스 (0) | 2024.02.21 |
댓글